"13인의 아해가 도로로 질주하오"
![]() | ||||
| ||||
![]() |
책값이 좀 세긴 하지만 지난주에 나온 한국문학 관련서로 가장 탐나는 책은 이상문학회에서 기획한 <오감도> 전작 해석집 <13인의 아해가 도로로 질주하오>(수류산방, 2013)다. 소개는 이렇다.
이상문학회가 기획하고 수류산방이 펴낸 <13인의 아해가 도로로 질주하오. 이상의 <오감도> 처음부터 끝까지 읽기>는 이상 시의 핵심으로 지목되지만 한국 문학사상 가장 난해하다고 평가되는 <오감도> 연작 15편 전체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전작 해석집이다. 이를 위해 이상 문학에 깊은 관심을 가진 대표적 현역 문학평론가와 한국 문학 연구자 17명이 한 책에 모였다.
필진은 김인환, 황현산 등 원로로부터 신형철, 조연정, 함돈균 등 소장 평론가/연구자까지 두루 망라돼 있다. 이 중 함돈균, 신형철 평론가의 박사학위논문이 이상 연구인 것으로 아는데, 함돈균의 <시는 아무것도 모른다 - 이상 시적 주체의 윤리학>(수류산방, 2012)가 학위논문을 단행본으로 펴낸 것이다. 신형철 평론가의 이상 연구도 기대가 된다. 소장 연구자들의 논문모음으로는 <이상 문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>(역락, 2006)이 있었다.
이상 연구와 관련하여 내가 처음 읽은 책은 고은의 <이상 평전>(청하, 1992; 향연, 2003)과 함께 김윤식 교수의 책들인 듯싶은데, <이상 연구>(문학사상사, 1987), <이상문학 텍스트 연구>(서울대출판부, 1998), <이상의 글쓰기론>(역락, 2010) 등이 거기에 속한다(<이상 연구>가 절판된 건 유감이다). 김윤식 교수가 엮은 문학사상사판 이상문학전집(전5권)이 내가 처음 구비한 전집이었는데, 지금은 대부분 절판된 듯싶다.
이후에 나온 전집으론 김주현, 권영민 교수가 각각 엮은 전집판이 있다. 각각 <정본 이상 문학전집>(소명출판, 2009, 전3권)과 <이상 전집>(뿔, 2009, 전5권)이다(뿔에서 나온 전집은 일부 품절 상태다).
연구자가 아니더라도 어떤 판본이건 전집 정도는 갖추고 있어야 이상적인 이상 독자에 대열에 들어가볼 수 있겠다. 소설에 한정하면 권영민 교수가 엮은 <이상 소설 전집>(민음사, 2012)이 요긴하다.
거기에 더 보태자면 권영민 교수의 <이상 문학의 비밀 13>(민음사, 2012), 김민수 교수의 <이상 평전>(그린비, 2012), 그리고 신범순 교수의 <이상의 무한정원 삼차각나비>(현암사, 2007)까지 꼽아볼 수 있다. <13인이 아해가 도로로 질주하오>란 제목에 괜히 마음이 들떠 생각나는 책들을 적어보았다...
2013.3 인터넷 서평가 로쟈 <로쟈의 서재> http://blog.aladin.co.kr/mramor/6222321
'행성의 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황병승 시집 <육체쇼와 전집> (0) | 2013.06.26 |
---|---|
조지프 스티글리츠 <불평등의 대가> (0) | 2013.06.23 |
조엔 바칸 <기업에 포위된 아이들> (0) | 2013.06.23 |
폴 리쾨르 <해석에 대하여> (0) | 2013.06.22 |
엠마뉘엘 레비나스 <신, 죽음 그리고 시간> (0) | 2013.06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