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시민행성 이야기

<사물의 철학> 자동차 전조등 - 전위적 감각의 출현과 모험 정신

 

 

현대문학 기원 중 하나로 평가할 만한 소설가 오스카 와일드에게 예술은 `인공미(人工美)`와 분리될 수 없는 것이었다. 그가 한 에세이에서 `아름다우면서도 있을 법하지 않은 사물들의 창조`를 얘기할 때, 이는 어느 순간 홀연히 나타난 현대 도시의 낯선 표정들과도 관련이 있었다.

얼마 전 캄캄한 밤길을 운전하다가 저 멀리 반대편 차선에서 다가오는 낯선 불빛을 보았다. 그것은 분명히 자동차 전조등임에 틀림없었지만 마치 인간계에 없는 어떤 존재의 치켜올린 하얀 눈매 같았다. 좀 더 가까이 다가온 그 `눈매`에는 다이아몬드가 촘촘히 박혀 있는 듯이 보였다. 흥미로운 것은 이 낯선 형상이 공격적인 이미지를 드러내면서도 `미적으로` 느껴졌다는 사실이다. 그것은 오스카 와일드가 표현한 것처럼 `아름다우면서도 있을 법하지 않은 사물들`에 속한 것이었다.

자동차 `LED(Light Emitting Diodeㆍ발광다이오드) 전조등`에 관한 얘기다. 이제는 웬만한 한국 차에도 붙어 있는 전조등이지만, 여전히 이 전조등 하면 떠오르는 것은 독일 자동차 브랜드 A다. 캄캄한 밤 도로에서도 전조등만으로 이 브랜드를 식별할 수 있을 만큼 이 사물의 오리지널리티는 A사가 확보하고 있다.

사실 LED 전조등은 높은 효율성을 지닌 첨단 발광 기술의 산물이다. 하지만 기술력만 있다고 이런 사물이 저절로 출현하지는 않는다. 왜 그럴까. 자동차라는 물건은 대체로 가장 비싼 개인 소유물에 속한다. 말 그대로 `지켜야 할 것`이 많은 `보수(保守)`적인 물건이라는 뜻이다.

그래서 자동차 디자인에서 종래 감각과 단절된 혁신적 이미지가 출현하기란 대단히 어렵다.

이미지에도 `창조적 진화`가 있다면, 철학자 베르그송 말마따나 목숨을 건 `생명의 도약`이 필요하다. 이 도약은 설령 실패하더라도 그 진정성으로 인해 감동을 자아낸다.

 

그러나 `시늉`이 아니라 정말 목숨을 거는 도약을 하기란 쉽지 않다. 대체로 우리가 사는 방식이란 다른 내일을 위한 모험보다는 오늘의 안전이 주된 관심사가 되기 때문이다. 고도 기술력을 지닌 글로벌 기업이 우리나라에도 몇 개나 생겼지만, 현대 도시의 표정을 바꾸는 전위적 아름다움들은 그래서 아직도 대부분 국산이 아니라 수입품이다.

 

[함돈균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]


[ⓒ 매일경제 & mk.co.kr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